급성구획증후군: 정의, 원인, 증상 및 치료법
최근까지 건강 이상설이 있던 배우 문근영 님이 10 월 21일 한결 건강해진 모습으로 넷플릭스 시리즈 '지옥2' 제작 발표회에 참석했습니다.
이에 기자들의 건강 관련 질문들이 쏟아졌습니다.
문근영 님은 2017년 2월 오른팔에 갑작스러운 통증을 호소하며 진단 결과 '급성구획증후군'이라는 다소 생소한 진단을 받았으며 이후 네 차례나 되는 수술을 받고 지금은 건강을 되찾고 다이어트 중이라고 합니다.
급성구획증후군(ACS, Acute Compartment Syndrome)은 신체의 특정 구획 내에서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져 혈액 순환이 차단되는 심각한 질환입니다. 이 상태는 근육, 신경, 혈관 등이 포함된 구획 내에서 발생하며, 적시에 치료하지 않으면 영구적인 손상이나 괴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최근 배우 문근영 님이 이 질환을 앓았던 사실이 보도되면서 많은 이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급성구획증후군의 정의, 원인, 증상, 치료법, 예방 방법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급성구획증후군의 정의
급성구획증후군은 구획 내 압력이 증가하여 혈액 순환이 차단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로 인해 조직으로의 산소 공급이 제한되며, 근육 및 신경 조직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태는 외상, 수술, 과도한 운동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발병 후 신속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급성구획증후군의 역사
급성구획증후군이 학계에 처음 보고된 것은 1881년입니다. 당시 외상 후 깁스를 한 환자가 너무 꽉 끼는 붕대나 석고로 인해 근육과 신경이 괴사 하면서 급성구획증후군이 진단된 사례가 있었습니다. 이 사건은 이 질환의 이해와 치료 방법 개발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습니다.
급성구획증후군의 원인
급성구획증후군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골절: 특히 장골이나 상지의 골절이 구획 내 압력을 증가시켜 급성구획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외상: 심한 타박상이나 외부에서 가해진 압력이 구획 내 혈액 순환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3. 수술 후 부종: 특정 수술 후 조직 내의 부종이 증가하여 구획 내 압력이 올라갈 수 있습니다.
4. 화상: 피부와 근육의 손상으로 인해 부종이 심해지면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과도한 운동: 장시간 지속된 강한 운동은 근육 내의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6. 혈관 손상: 동맥의 손상으로 인한 출혈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급성구획증후군의 초기증상
급성구획증후군은 초기 전조 증상을 통해 신속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인지하지 못하면 빠르게 상태가 악화될 수 있습니다. 초기 증상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극심한 통증: 구획 내 압력 상승으로 인한 통증은 주로 부상 후 발생하며, 통상적인 진통제로는 완화되지 않습니다.
- 팽팽한 느낌: 구획 부위가 붓고, 피부가 팽팽한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저린 느낌 및 감각 이상: 해당 부위의 감각이 둔해지거나 이상 감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운동 제한: 해당 부위의 움직임이 어려워지고, 특히 손가락이나 발가락 등의 움직임이 제한됩니다.
- 맥박 약화: 심한 경우 구획 내 혈류 차단으로 인해 해당 부위의 맥박이 약해지거나 소실될 수 있습니다.
급성구획증후군의 증상
초기증상 때 제때 치료를 하지 않으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급성구획증후군 증상은 악화되게 되며, 대표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심한 통증: 압력이 증가하면서 극심한 통증이 지속됩니다.
- 부종: 압력에 의해 해당 부위가 점점 더 부풀어 오릅니다.
- 피부색 변화: 산소 공급이 차단되면서 피부가 창백하거나 푸르게 변할 수 있습니다.
- 근육 약화: 시간이 지날수록 근육이 손상되어 힘을 잃습니다.
- 마비: 심한 경우 신경이 손상되어 완전한 마비가 올 수 있습니다.
- 근육과 신경의 괴사: 근육을 감싸는 근막 안쪽의 혈액순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근육과 신경이 괴사 할 수 있습니다.
- 감각이상: 발생부위 감각이 없어지거나 움직일 때 비명을 나올 정도로 통증이 심합니다.
급성구획증후군의 치사율
급성구획증후군은 정형외과적 응급상황으로 즉각적인 수술 치료가 필요합니다. 급성구획증후군 자체로 치사율이 높은 질환은 아니지만,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신체 일부를 잃을 수 있으며, 극단적인 경우 패혈증이나 다발성 장기 부전으로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구획 내의 조직이 괴사 하게 되면, 해당 부위를 절단해야 할 위험이 있으며, 이로 인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근육괴사, 근육구축, 신경손상, 절단, 콩팥기능장애, 사망).
급성구획증후군 치료법
급성구획증후군의 치료는 신속한 진단과 개입이 필요합니다. 주요 치료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 수술적 치료: 구획절개술 (fasciotomy)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은 구획절개술입니다. 이 수술은 근막을 절개하여 혈액이 제대로 흐르지 못하는 상태를 해결하는 방법입니다. 근막을 절개함으로써 압력을 해소하고, 조직에 산소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합니다. 수술 후에는 꿰매거나 피부이식을 받아야 하며, 회복 기간은 2~3주 정도 소요됩니다. 적절한 시기에 수술하면 정상 기능을 회복하는 비율이 68% 정도에 이릅니다. 반면, 급성구획증후군이 발생하고 12시간 이상 지난 이후에 근막 절개술을 시행하면 정상 기능을 회복하는 비율이 8%로 떨어집니다. 따라서 즉각적인 개입이 필요합니다.
2. 보존적 치료
구획 내 압력이 완화된 이후에는 부종 관리, 진통제 사용, 감염 방지를 위한 항생제 투여 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수액 및 전해질 관리도 중요하며, 근육 손상이 심할 경우 혈액 내 칼륨 농도가 상승할 수 있어 이를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급성구획증후군 예방법
급성구획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외상이나 수술 후의 관리가 중요합니다. 주요 예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부상 관리: 골절이나 심한 외상이 있을 경우 초기부터 적절한 고정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특히 골절 부위의 붓기를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합니다.
- 압력 관리: 수술 후 붓기가 심할 경우 해당 부위를 심장보다 높게 유지하고, 압박을 주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운동 후 관리: 과도한 운동을 피하고, 운동 후 근육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근육통이나 이상 징후가 있으면 즉시 휴식을 취해야 합니다.
- 적절한 고정 기구 사용: 골절 치료 시 사용하는 석고붕대나 고정 기구가 너무 꽉 조여져 있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불편함이 느껴지면 의료진에게 즉시 알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
급성구획증후군은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한 응급상황입니다. 문근영 님의 사례를 통해 이 질환의 심각성을 다시 한번 느끼게 되며, 올바른 정보와 예방 조치를 통해 건강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급성구획증후군의 초기 증상이 나타난다면 즉시 의료기관을 찾아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수적입니다.